크레용 신짱

무도리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3월 9일 (일) 06:15 판 (무도리 (토론)의 9678판 편집을 되돌림)
AUR 월화(시즌 1) · 금토(시즌 2) 드라마
크레용 신짱 (2024, 2025)
Crayon Shinchan
언어별 제목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크레용 신짱
영어 Crayon Shinchan
일본어 クレヨンしんちゃん
중국어 蜡笔小新
장르 시트콤, 코미디, 일상
방송 시간 시즌 1 월 · 화 / 오후 10:00~
시즌 2 금 · 토 / 오후 10:00~
방송 시간 시즌 1 2024년 5월 20일 ~ 2024년 8월 6일
시즌 2 2025년 4월 4일 ~ 2025년 6월 28일
방송 횟수 시즌 1 24부작
시즌 2 26부작
기획 아름연합방송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 스튜디오뷰티풀
채널 AUR
추가 채널 AUR D


연출 백승룡[1], 채성은[2]
크리에이터 송재정[3]
극본 송재정, 이소정[4], 김종현[5]
원작 일본_국기.svg 우스이 요시토 〈짱구는 못말려〉
출연 박은우, 이광수, 류혜영 外
스트리밍 대한민국_국기.svg : TVING
시청 등급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언어, 모방위험)

1.개요

"천방지축 어리둥절 빙글빙글 돌아가는 짱구의 하루"

'폭풍을 부르는 유치원생' 신짱구, 바겐세일이라면 사족을 못 쓰는 엄마 봉미선,
발냄새가 지독한 아빠 신영식, 그리고 막내 신짱아까지,
물 건너온 가족이지만 대한민국에도 알 사람은 다 아는 바로 '그 가족'들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2024년 5월 20일부터 2024년 8월 6일까지 〈연두의 계절〉 후속으로 방영된 AUR 월화 드라마.

2.기획의도

3.등장인물

3.1.짱구네 가족

  • 신짱구 (배우: 박은우)
  • 신영식 (배우: 이광수)
  • 봉미선 (배우: 류혜영)
  • 신짱아

3.2.떡잎유치원

  • 권지옹 (배우: 하도권)
  • 채성아 (배우: 김세정)
  • 나미리 (배우: 강민아)
  • 차은주 (배우: 최희진)
  • 한수지 (배우: 배희빈)
  • 흑곰 (배우: 류의현)

3.3.떡잎마을 방범대

  • 김철수 (배우: 염건휘)
  • 이훈이 (배우: 윤서진)
  • 한유리 (배우: 윤세아)
  • 맹구 (배우: 김에민)

3.4.짱구네 친척

  • 신돌식 (배우: 임하룡)
  • 이옥분 (배우: 이화영)
  • 봉선달 (배우: 성동일)
  • 이영선 (배우: 김미경)
  • 봉미자 (배우: 한지완)
  • 봉미소 (배우: ???)

3.5.짱구 절친즈

3.6.와르르맨션

  • 박말순 (배우: 정재순)[특별출연 1]
  • 배우경 (배우: 조이현)[특별출연 1]
  • 오수 (배우: 나선욱)
  • 유미 엄마 (배우: 이재희)
  • 유미 (배우: 양지유)

3.7.기타

  • 김용숙 (배우: 이가연)
  • 이은혜 (배우: 윤가이)
  • 최마리 (배우: 김가은(코미디언))
  • 고뭉치 (배우: 박강섭)
  • 성유미 (배우: 유지수)
  • 동래파전집 유미 (배우: 이선빈)[특별출연 1]
  • 부산 여자 1 (배우: 정은지)[특별출연 1]
  • 부산 여자 2 (배우: 한선화)[특별출연 1]
  • 부잣집 어머니 (배우: 여민정(성우))[특별출연 1]
  • 이현우 (배우: 정건주)[특별출연 1]
  • 김한석 (배우: 정우진)

  1. 1.0 1.1 1.2 1.3 1.4 1.5 1.6 1.7 1.8 특별출연 기사 또는 포스터·엔딩 크레딧에 특별출연으로 기재.

4.음악

5.원작과의 차이점

  • 대한민국에서 12세 시청가로 방영된 TVA와 달리 본작은 15세 시청가로 방영되었다.
  • 작중 떡잎유치원의 셔틀버스인 '고양이 버스'가 드라마에서는 그냥 평범한 노란색 통학 버스로 바뀌었다. 이는 대한민국에서는 13세 미만 어린이 전용 통학버스는 반드시 차량 전체를 노란색으로 칠해야한다는 규정이 있기에 어쩔 수 없이 바꾼 것이다.
  • 짱구네 가족의 집이 가스폭발로 날아가고 와르르맨션으로 이사를 가는 에피소드는, 짱구네 집이 노후화되어 안전점검이 필요해 재건축이 필요하다는 부분으로 순화되었다.
  • 와르르맨션 에피소드의 경우 잠복 형사 두 명과 리사 아스피린, 스테로이드 현빈 캐릭터 자체가 삭제되었다. 이 때문에 와르르맨션의 상당수 에피소드가 삭제되어 비중이 적어졌다.
  • 와르르맨션에서 원래 집으로 이사를 가는 에피소드에서는 짱구가 리사 아스피린, 스테로이드 현빈과 노는 걸 본 잠복 형사 두 명이 리사와 현빈을 체포하려하는 부분도 삭제되었고, 잠복 형사가 짱구를 인질로 잡은 테러범이 나오는 부분은 그냥 짱구 아빠가 신고를 하여 경찰이 온다는 부분으로 바뀌었다.

6.기타

  • 작중 내용은 원작 만화가 아닌, 애니메이션 에피소드를 베이스로 따라가며 실제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들도 상당수 드라마화되었다.
  • 기획 당시 이름은 '정균이는 못말려'로 등장인물들의 이름 또한 애니에서 로컬라이징된 이름을 살짝 비튼 이름으로(신짱구 → 신정균, 채성아 → 채선희 등) 되어있었으나 CJ ENM의 자회사인 스튜디오드래곤의 제작 참여가 확정된 이후로 지금과 같이 애니판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이 과정에서 제목도 원판 제목인 '크레용 신짱'으로 바뀌었다.
  • 시즌 1 10화 1부에서 유치원에 방문한 부잣집 엄마[6] 역으로 특별출연한 성우 여민정은 배우 하도권의 아내로, 짱구는 못말려에서 신짱아, 김철수, 유리 엄마 등을 연기했다.

7.수상

연도 시상식 부문 수상자
2024년 AUR 연기대상 남자 청소년 연기상 박은우
인기상 이광수
남자 우수상
남자 최우수상 성동일[7]
여자 최우수상 류혜영
올해의 드라마상 크레용 신짱

  1. 연예인 매니저로 살아남기, 쌉니다 천리마마트, SNL 코리아 등 연출
  2. AUR '가즈아 태혜지' 등 연출
  3. 유미의 세포들,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등 집필
  4. 톱스타 유백이, 지붕뚫고 하이킥 등 집필
  5. AUR 개그펜타곤 집필
  6. 국내판에서는 성우 김미정이 맡은 역할이다.
  7. '국무총리가 필요해'에도 출연하여 함께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