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아름그룹}} {{아름그룹 기업정보}} {{목차}} {{-}} == 개요 == 아름그룹은 대한민국의 기업집단이다. == 역사 == === 창립과 초기 사업 (1946년~1980년대 초반) === 1946년, 창업주 김희곤이 미가상사(美嘉商社)를 창업했다. 초기에는 농산물 유통과 미가국수, 미가식용유 등의 서민적 식품 사업을 운영하며 점진적으로 성장했다. 1975년 미가유업을 설립해 유제품 사업에 진출했으며, 1980년 미가식품으로 사명을 변경하며 가공식품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했다. 김희곤은 평소 야구를 사랑한 기업인이었으며, 1980년대부터 프로야구단 창단을 꿈꿨다. 1970년대에 그룹화를 선언하며 미가그룹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한 후, 여러 차례 프로야구단 인수를 시도했으나 성사되지 않았다. 첫 번째 시도는 그룹화 직후인 1980년대 초반이었다. 당시 김희곤은 자신의 고향이 경상북도 청도군이라는 것을 이유로 들어 대구와 경북을 연고지로 하는 프로야구단을 창단하려 했으나, 삼성그룹이 먼저 대구·경북 연고의 삼성 라이온즈를 창단하면서 계획이 무산되었다. === 식품산업 확장과 그룹명 변경 (1980년대 초반~1990년대) === 1983년, 일본의 식품기업과 기술 제휴를 맺고 '미가라면' 브랜드로 라면 시장에 진출했다. 경쟁사인 청보식품, 빙그레보다 1~2년 앞선 행보였다. 1988년에는 '미가음료'를 설립하여 음료 시장에 진출했으며, 1993년에는 그룹명을 '아름그룹'으로 변경하고 계열사들도 아름식품, 아름유업, 아름음료 등으로 사명을 통일했다. 1994년에는 생수 브랜드 '아름 우리샘물'을 출시하며 생수 시장에 진입했다. 1997년, 아름그룹은 자금난에 빠진 전북의 쌍방울 레이더스 야구단을 인수하려 했으나, 전북 지역과 연고가 없던 아름그룹은 연고지를 타 지역으로 바꾸길 원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 사회와의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해 협상 포기를 선언했다. 김희곤은 1999년 지병으로 타계하였고, 장남 김유진이 그룹을 승계받았다. === 유통·외식·패션·생활용품 산업 확장 (2000년대~현재) === 2001년 대형 할인마트 '아름플라자'를 론칭하며 유통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으며, 현재도 지속적으로 운영 중이다. 2005년에는 패스트푸드 브랜드 '하디스(Hardee’s)'를 대한민국 시장에 재도입했으며, 이후 꾸준히 사업을 유지하며 성장하고 있다. 한편 김유진 회장 또한 부친과 마찬가지로 야구에 대한 애정이 깊어, 2007년 현대 유니콘스 인수를 시도했다. 당시 아름그룹은 "연고지가 서울이 아니어도 좋다"며 오히려 경기도 연고를 제안했으나, 이미 인천·경기 광역 연고를 가지고 있던 기존 구단의 반대와 함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기업(K사)이 존재했던 점이 부담으로 작용해 결국 인수를 포기했다. 여담으로 창업주 김희곤 전 회장은 물론 2대 김유진 회장까지 그룹 일가가 모두 야구에 대해 상당히 관심이 많은 '야구광'으로 유명하다. 1982년 KBO 리그 출범 당시부터 김희곤 전 회장은 자신의 응원팀 경기가 TV 중계가 있으면 매번 거르지 않고 챙겨보았고, 심지어 중계가 없는 날에도 신문의 스포츠면을 꼬박꼬박 읽어보았다고 한다. 2008년에는 외식 사업을 확대하며 프리미엄 한식 브랜드 '한아름'을 론칭했으나, 사업성이 부족하여 이후 철수했다. 2021년 기존 아름식품의 외식 및 프랜차이즈 부문을 '아름테이스츠'로 분리했다. 또한, 2010년대 들어 패션 및 화장품·생활용품 시장에도 진출했다. 2012년 패션 계열사 '아름EF'를 설립하여 의류 및 패션 브랜드를 출시했으며, 2015년에는 화장품·생활용품 생산 계열사 '아름라이프'를 설립하여 화장품 및 생활 필수품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 미디어·엔터테인먼트 및 글로벌 사업 확장 (2010년대~현재) === 2013년 '아름연합방송'을 설립하며 미디어 산업에 본격 진출했다. 2015년에는 종합편성채널 진출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이후 케이블 채널 사업에 집중했다. 2020년에는 연예 기획사 '아름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해 방송인 및 코미디언 매니지먼트 사업을 시작했다. 한편, 같은 해 아름그룹은 두산 베어스, 키움 히어로즈, 심지어 삼성 라이온즈 등 3개 구단 중 한 곳의 인수를 시도했다. 그러나 세 구단 모두 협상이 결렬되면서 아름그룹은 또다시 KBO 리그 입성에 실패했다. 2018년에는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 시장에 진출하여 라면과 음료를 수출하며 글로벌 사업을 강화했다. 2023년에는 미국 LA에 'ARUM FOODS USA' 법인을 설립하며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섰다. 현재 아름그룹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종합 식품·외식·미디어·엔터테인먼트·패션·생활용품 기업으로 자리 잡았으며, 지속적인 해외 진출과 미래 산업 투자로 도약을 이어가고 있다. == 계열사 목록 == === 현존 === * 지주: 아름홀딩스 * 식품: 아름식품, 아름음료, 아름유업, 아름테이스츠 (하디스 · 윈디치킨 · 마르코스 피자 · 델리오션), 아름제과 * 유통·물류: 아름리테일 (에브리포어 · 딜리버리BF · 아름멤버스), 아름커머스 (아름플라자 · 아름마켓 · 아름스토리지스 · 아르몰), 아름유통본부, 아름로지스 * 미디어: [[아름연합방송]] · [[AUR PLUS]] · [[AUR CNM]] · [[아름엔터테인먼트]] · [[스튜디오뷰티풀]] · AUR 인터내셔널 · 아유레디, 잼 코퍼레이션 (스튜디오D · 도서출판 잼 · 잼투유) * 화학·제조: 아름라이프, 아름알미늄, 아름EF * 스포츠: [[AUR 페가수스]], 구미 아름 FC, [[대구 아름식품 오터스]], <del>[[포항 아름 머린스]]</del> * 공익재단·학교법인: 아름장학재단, 아름복지재단, 필강야구재단, 선양학원 (선양중학교 · 선양고등학교 · 선양여자고등학교) == 여담 == * 중국어 이름으로는 당초 그룹의 구 명칭이었던 '''美嘉''' 또한 후보에 있었으나 '아시아의 숲'을 의미하고 '아름'과 발음도 비슷한(yàlín) '''亚林'''으로 결정되었다. [[분류:아름그룹]]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아름그룹 (원본 보기) 틀:아름그룹 기업정보 (원본 보기) 아름그룹 문서로 돌아갑니다.